📌 시장 개요
미국 증시는 월요일 급락 이후 변동성을 이어갔다. 초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전쟁 심화 조짐이 보이면서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특히 산업주가 큰 타격을 받았으며, 트럼프의 추가 관세 발표로 캐나다 달러도 약세를 보였다.
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 대비 약 10% 하락, 기술적으로 조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VIX(변동성 지수)가 상승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다.
🇺🇸 트럼프, 캐나다 철강·알루미늄 관세 50%로 인상
트럼프 전 대통령은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기존의 두 배인 50%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온타리오주의 미국 송전 전력에 대한 세금 인상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캐나다의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 지명자는 미국이 공정한 자유무역에 동의하기 전까지 캐나다 역시 보복 관세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무역 갈등으로 인해 미국 경제와 국제 관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 증시 동향
무역 전쟁 우려로 인해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 S&P 500: -1.5% (4,350.00)
🔹 나스닥 100: -1.2% (15,000.00)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1.7% (34,200.00)
🔹 MSCI 세계지수: -1.3%
특히 산업주와 금융주가 약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 외환 시장 동향
무역 갈등 속에서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고, 유로화 및 파운드화는 상승했다.
🔹 블룸버그 달러 지수: -0.4%
🔹 유로/달러: +0.9% (1.0928달러 ≈ 1,450원)
🔹 영국 파운드/달러: +0.5% (1.2940달러 ≈ 1,720원)
🔹 일본 엔/달러: +0.1% (147.07엔)
💎 암호화폐 시장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상승세를 보였다.
🔹 비트코인: +2.2% (81,014.57달러 ≈ 1억 700만 원)
🔹 이더리움: +1.6% (1,898.32달러 ≈ 250만 원)
💵 채권 및 상품 시장
금리는 소폭 상승했으며, 금과 원유는 강세를 나타냈다.
📌 채권 수익률
🔹 미국 10년물 국채: +0.02% (4.23%)
🔹 독일 10년물 국채: +0.06% (2.90%)
🔹 영국 10년물 국채: +0.03% (4.67%)
📌 상품 시장
🔹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0.4% (66.28달러/배럴 ≈ 8만 8000원)
🔹 금(Spot Gold): +0.9% (2,915.16달러/온스 ≈ 390만 원)
📅 이번 주 주요 경제 이벤트
🔹 수요일: 캐나다 금리 결정,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
🔹 목요일: 유로존 산업생산, 미국 PPI(생산자물가지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금요일: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 결론
📉 미국 증시는 무역 전쟁 우려 속에 변동성을 확대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S&P 500은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커졌으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모습이다.
💰 트럼프의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상 발표로 인해 무역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달러화 약세와 금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미국 CPI 및 주요 경제 지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Q&A
1️⃣ S&P 500이 조정 국면에 들어간다는 의미는?
S&P 500 지수가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면 조정(Correction) 국면에 들어갔다고 본다. 현재 약 10% 하락한 상태이므로 투자자들은 추가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2️⃣ 트럼프의 관세 인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 캐나다와 미국의 무역 갈등 심화
🔹 철강·알루미늄 수입업체의 비용 증가
🔹 물가 상승 및 제조업 비용 부담 증가
🔹 미국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
3️⃣ 금 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 무역 전쟁 및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또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 상대적으로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4️⃣ 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경제 지표는?
🔹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 인플레이션 추세를 가늠할 핵심 지표
🔹 PPI(생산자물가지수) – 기업 생산 비용 변화를 반영
🔹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 소비자들의 경제 전망을 보여줌
'미주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보복관세 발효 이후 미국 증시 선물 하락 (0) | 2025.04.11 |
---|---|
흔들리는 달러 시장 : 트럼프 정책 영향? 시장의 새로운 불안요소 (0) | 2025.03.31 |
월스트리트 폭락, 미국 부유층 가계에 미치는 영향 (1) | 2025.03.08 |
유가 하락폭 축소 : 관세 영향으로 수요 전망 불확실 (1) | 2025.03.06 |
TSMC, 미국 반도체 공장에 1,000억 달러 투자 예정! (2) | 2025.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