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동향 분석

트럼프 관세 유예 발표로 글로벌 증시 급등

미주투자 2025. 4. 10.

 

트럼프 관세 유예 발표로 글로벌 증시 급등

2025년 4월 10일, 글로벌 금융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대부분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하면서 아시아 주식시장은 2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락하고, S&P 500 지수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여파로, 전 세계 증시는 일제히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서만은 예외를 두며 관세율을 125%로 인상했는데, 이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겨냥한 압박으로 해석됩니다.

 

  1. 아시아 증시가 2년 만에 최대 상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 증시 반등과 관세 유예 결정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2.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지난 3일간 34bp 상승한 이후 하락 전환되면서 채권시장도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3.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화는 시장 불안을 해소하고 협상 여지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중국과의 긴장 고조에도 기대감 살아있는 시장

트럼프 대통령은 대다수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를 기존 10% 수준으로 되돌렸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1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즉각 대응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증시는 부양책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나타냈고, 위안화는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중국 인민은행의 추가적인 통화완화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미국 채권시장 혼란 속에서도 투자심리 회복 조짐

최근 미국 국채시장은 높은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3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10년물 국채는 390억 달러 규모의 입찰에서 양호한 수요를 보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 여전히 안전자산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단기물 국채는 안전자산으로서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주식시장과의 자금 이동이 두드러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채시장을 “아름다운 시장”이라 표현하며, 이번 관세 유예 조치가 시장 안정화의 일환임을 강조했습니다.

 

상품시장도 불안정한 흐름 속 금값 급등

원유는 트럼프의 정책 변화에 따른 수요 예측이 어려워지며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금 가격은 하루 만에 18개월 내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여전히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금속 시장은 25년 만에 최장 하락세를 멈추며 반등했는데, 이는 관세 불확실성 완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아시아 지역의 채권은 미국 시장의 영향을 받아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일본과 호주의 채권시장도 미국의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는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시아 증시 급등, 미국 국채시장 안정, 금 가격 상승 등 전반적으로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중국과의 갈등은 깊어지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의 성장률 전망 하향, 위안화 약세, 그리고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장기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단기 반등보다는 중장기적인 시각으로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분간은 각국의 정책 대응과 미국 국채시장의 변동성에 주목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기입니다.

 

댓글